3D 프린터 릴레이 연결

옥토프린터로 전원을 켜기위한 릴레이의 배선을 연결 했습니다.

아는 사람에게는 쉬운거지만 모르는 사람에게는 어렵고 위험한 작업 입니다.

일단, 집에 들어오는 전기는 3개의 선으로 들어오는데 초록색과 노란색이 섞인 접지선과 파란색의 뉴트럴, 갈색의 라이브 입니다.

콘센트를 보면 구멍두개가 극성 구분이 없습니다. 직류전원처럼 플러스, 마이너스를 구분해서 꽂지 않아도 됩니다.

오히려 그래서 더 헷깔립니다.

일단, 배선을 연결할때 플러스 마이너스를 구분 할 필요가 없으니 때에따라서는 어느쪽에 전기가 살아있는지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어쨌든, 갈색선이 라이브(전기가 살아있다라고 이해 하겠습니다)이므로 가능하면 연결하고 끊는 작업은 갈색선으로 하겠습니다.

1차로 들어오는 전원 코드의 갈색선 쪽에 퓨즈와 스위치가 연결 됩니다.

그리고 2차로 릴레이에 연결될 때도 갈색선을 잘라서 스위치가 될 수 있도록 연결 합니다.

그러면 파란선(뉴트럴)과 녹색선(접지)은 쭉 연결 되어있고, 갈색선(라이브)만 1차 스위치와 2차 릴레이를 통해서 제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릴레이는 3.3V로 동작하는 제품을 구입하면 다른 설정없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

5V로 동작하는 릴레이가 더 싸던데, 라즈베리파이에 바로 연결하면 동작이 안됩니다.

참고로, 위쪽 가운데에 들어오는 전선을 연결하고,

사진처럼 위쪽 오른쪽에 나가는 전선을 연결하면 신호가 있을때 연결되는 방식(평소엔 끊어져 있음)[note]A접점, NO(Nomal Open)[/note]이고,

위쪽 왼쪽에 나가는 전선을 연결하면 신호가 있을때 끊어지는 방식(평소엔 연결되어 있음)[note]B접점, NC(Nomal Close)[/note]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전선은 컴퓨터 전원케이블과 동일한 구리선의 지름이 0.75mm인 전선을 사용 했습니다.

Leave a Comment